본문 바로가기

Python88

[Python] 파이썬의 조건문 if, elif, else 파이썬의 조건문 if 조건문이란 우리 일상생활에서 흔히 쓰는 문장 if (~ 라면, ~ 한다) (ex : 비가 오면 우산을 들고 나가고, 비가 오지 않으면 놓고간다) 파이썬의 조건문은 if 로 시작하고 조건의 끝에는 콜론( : )을 찍어준다 ※ if 조건문은 tap(탭) 들여쓰기가 중요하다 if 만 입력해서 조건을 설정할 경우 입력값이 Ture 일때 액션을 수행하고 Ture 가 아닐시 수행하지 않는다 파이썬의 조건문 elif elif 는 if 의 추가조건을 입력할때 사용한다 if 조건문에서 True 가 나오지 않았을때 밑으로 내려가면서 추가 조건식 중에 True 값을 찾아내 출력한다 (if 의 조건식이 맞으면 elif 의 조건식은 수행하지 않음) True 값이 나오면 밑에 조건들은 생략하고 출력한다 파이.. 2022. 11. 17.
[Python] 파이썬의 비교 연산자(==, !=, >, <, >=, <=)와 and, or 파이썬의 비교 연산자 ==, !=, >, =, 2022. 11. 17.
[Python] 파이썬의 집합 set() 비어있는 셋 만들기 set() 함수 비어있는 셋을 만드는 방법은 set() 한가지이다 데이터를 포함한 셋을 만들기는 중괄호{ }를 사용해 데이터 값을 입력하면 된다 (중복된 데이터는 제거하고 저장된다) 기존 셋에 데이터를 추가하는 방법은 .add() 함수를 사용하고 삭제는 .discard() 함수를 사용한다 ( .add()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추가했는데 기존에 있는 데이터일 경우 새로 추가되지 않는다) 2022. 11. 16.
[Python] 파이썬의 튜플 만들기 tuple() 튜플 만들기 tuple() 비어있는 튜플 만들기는 아래처럼 두가지 방법으로 생성할 수 있다 ※ 튜플을 만들때 주의할 점 : 튜플 안에 데이터가 1개일 경우 튜플이 성립되지 않는다 데이터를 1개만 입력시 콤마(,)를 작성해야 튜플로 값이 출력된다 또한 데이터를 입력할때 괄호()를 하지 않고 콤마(,)만 작성해도 자동으로 튜플로 값이 출력된다 튜플은 데이터 수정, 추가, 삭제가 불가능 튜플의 데이터 억세스는 리스트와 똑같지만데이터 수정, 추가, 삭제가 불가하다 2022. 11. 16.
[Python] 파이썬 딕셔너리의 데이터 변경, 추가, 삭제 딕셔너리 밸류 값 변경하기 기존 딕셔너리에 있는 밸류값을 변경하는 방법은 변경할 키값을 대괄호에 입력하고 새로운 밸류 값을 입력하면 기존 값은 없어지고 새로 작성한 값이 표시된다 딕셔너리에 새로운 데이터 추가하기 기존 딕셔너리에 있는 데이터에 추가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은 대괄호에 추가할 키값을 입력하고 밸류값을 입력하면 새로운 데이터가 값이 추가된다 딕셔너리의 데이터 삭제하기 딕셔너리 데이터 삭제하는 방법은 del을 이용해 대괄호에 키값을 입력해주면 해당 키값과 밸류값이 삭제된다 2022. 11. 16.
[Python] 파이썬 딕셔너리의 키와 밸류 keys(), values(), get() dict 에서 key값들 혹은 values값들만 가져오기 keys(), values() 함수 keys() : 딕셔너리에서 키값들만 가져온다 valuse() : 딕셔너리에서 밸류값들만 가져온다 item() : 딕셔너리에서 쌍으로(키값과 밸류값) 가져온다 dict 에서 key에 매칭된 value를 가져오는 대괄호 딕셔너리 변수의 오른쪽에 대괄호[ ] 를 쓰고 그 안에 키를 써주면 해당 키에 매칭된 값(value)를 가져오게 된다 (대괄호 안에 없는 키값을 입력하면 에러가 발생한다) 에러 없이 value를 가져오는 get() 함수 my_dict 라는 딕셔너리 변수에서 color 라는 없는 key를 사용하게 되면 에러가 발생한다 딕셔너리에서 에러 없이 밸류에 접근하고자 한다면 get() 함수 안에 키를 입력하면.. 2022. 11. 16.
[Python] 파이썬 딕셔너리 만들기 dict() 파이썬의 딕셔너리 만들기 dict() my_dict = { 'key1' : 'value1', 'key2' : 'value2', 'key3' : 'value3' } 이렇게 딕셔너리는 키(key)와 밸류(value)의 쌍으로 되어 있다 (한쌍은 item) 문법으로는 시작과 끝에 { } 이런 중괄호를 사용하게 된다 키와 밸류 사이는 항상 콜론 : 으로 구분한다 (콜론의 왼쪽이 Key, 콜론의 오른쪽이 Value) 키는 딕셔너리 안에 유일한 값으로 되어 있어서 키가 같은 값을 가질 수 없다 그러나 밸류는 같은 값이 여러개 있어도 상관없다 2022. 11. 16.
[Python] 파이썬의 리스트 항목 정렬하기 sorted(), sort(), reverse 데이터를 정렬 하는 sorted() 함수 sorted() 함수는 원본 리스트의 변경 없이 데이터를 정렬한다 fruits 는 리스트 변수이다 이 리스트를 정렬하려면 sorted(fruits)를 하면 정렬된 리스트를 반환받을 수 있다 원본인 fruits는 변함이 없으며 기본은 오름차순 정렬이다 리스트의 항목을 정렬해서 원본 리스트에 저장하는 sort() 함수 sort() 함수는 리스트 변수.sort() 로 사용한다 (sort는 리스트의 함수이다) 아래에서 fruits 는 리스트 변수이므로 fruits.sort() 라고 하면 fruits 리스트 자체를 정렬한다 원본인 fruits 데이터가 변하며 기본은 오름차순 정렬이다 순서 바꾸기 역순으로(내림차순) 정렬하는 reverse sorted 함수와 sort 함수 .. 2022. 11. 16.
[Python] 파이썬의 리스트 항목 제거(삭제)하기 del, remove(), pop() 인덱스를 이용해 삭제를 원하는 위치의 값을 삭제하기 del Mon을 삭제하려고 할때, Mon은 인덱스(오프셋)가 1 이므로 del week[1] 이라고 하면 삭제된다 저장되어 있는 값으로 삭제하기 remove() 함수 데이터를 지정해서 직접 지우고 싶을때 remove() 함수 안에 지우고 싶은 값을 써주면 된다 값을 반환하면서 리스트에 값을 삭제하기 pop(), pop(인덱스) 함수 pop()함수에 아무것도 쓰지 않으면 리스트의 맨 뒤에 저장되어 있는 값을 반환하면서 리스트에서 삭제한다 따라서 아래 예제에서는 리스트 맨 마지막인 Sat를 리스트에서 삭제시키면서 그 값을 value에 반환한다 또한 pop()함수에 인덱스 숫자를 적어주면 해당 인덱스에 위치한 값을 리스트에서 삭제하면서 그 값을 반환한다 따라.. 2022. 11. 15.
[Python] 파이썬의 리스트 항목 추가하기 append(), insert() 리스트 끝에 항목 추가하기 append() append() 함수는 리스트의 맨 끝에 값을 추가하는 함수이다 append('Sat')를 해주면 append 안에 들어있는 값(Sat)을 해당 리스트의 맨 끝에 추가하게 된다 따라서 week 라는 리스트는 'Sat' 이 추가된 리스트 ['Sun', 'Tue', 'Wed', 'Thu', 'Fri', 'Sat']이 된다 리스트에 항목 추가하기 insert() insert() 함수는 리스트 중간에 원하는 위치(index)에 값을 추가하는 함수이다 Sun 다음이 Tue 로 되어있는데 Sun 다음에 Mon을 추가하고 싶을때 Sun의 위치는 인덱스가 0 이므로 Mon을 인덱스 1 의 위치에다 추가해 주면 된다 그러므로 insert( 인덱스, 값 ) 함수를 이용해서 wee.. 2022. 11. 15.